Internet Archive에 아카이빙된 내용을 활용하여 표시하는 서비스입니다. 모든 글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현재 사회과학에서 알고 있는 것과 비즈니스에서 행하고 있는 것에는 큰 격차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외적보상(extrinsic reward)의 효과에 대한 것이다. 외적보상은 21세기에 더 중요해진 창의적 작업에서는 오히려 마이너스 효과를 가져온다. 자율성이 중요하다.
fact, a true fact (사실, 진짜 사실)replicated over and over and over again for nearly 40 years. (약 40년간 계속 해서 같은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this is one of the most robust findings in social science (이것은 사회 과학에서 가장 확실한 발견 중 하나입니다)too many organizations are making their decisions, their policies about talent and people, based on assumptions that are outdated, unexamined, and rooted more in folklore than in science (너무 많은 조직들이 재능과 사람에 관한 결정을 내리고, 정책을 만들 때 구식에, 확인해보지도 않았고 미신에 근거한 가정에 근거합니다. 과학에 근거하지 않고요.)there is a mismatch between what science knows and what business does (과학이 아는 것과 비즈니스가 행하는 것이 서로 맞지 않습니다)those if-then rewards often destroy creativity (뭐 하면 뭐 해줄게 식의 보상들은 많은 경우 창의성을 죽여버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