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경이었습니다. IBM 디벨로퍼웍스 인터뷰 기사를 연재하시는 송우일씨께서 혹시 인터뷰할만한 사람이 있으면 추천해 달라고 하시더군요. 통상 소위 "잘나가는" 개발자가 떠올라야 할텐데(인터뷰 연재 제목이 "국내 유명개발자 인터뷰"입니다), 바로 머리에 떠오른 것이 "여자 개발자 모임터"였습니다. 그래서 그 모임의 운영자이신 전수현씨를 추천드렸고, 송우일씨도 마침 이런 인터뷰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 동감을 했습니다. 인터뷰 기획을 하면서 전수현씨 외에도 다른 회원분들이 같이 나오면 더 좋겠다는 이야기가 오고 갔고, 또 가능하다면 저도 인터뷰에 참여했으면 한다고 말씀을 드리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여차여차 하다가 8월 4일 비가 내리던 토요일 오후에 인터뷰를 했습니다. 남자는 저랑 송우일씨 두 사람이고, 여성분이 5명 되었죠. 모두 개발자. 처음엔 좀 어색했습니다만 "개발자"라는 공통점 때문인지 금새 익숙해지더군요.
인터뷰를 하면서 우리 사회의 불합리하고 폭력적인 단면들을 듣게 되어서 씁쓰레하기도 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여성으로서 개발자의 꿈을 키워오느라 고생하신 분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마음이 찡하더군요. 말씀하시다가 눈물을 흘리시는 분도 있었구요.
하지만 이런 인터뷰나 각종 사회적 이벤트, 모임 활동 등을 계기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뀔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되기도 했습니다. 저 역시 최대한 노력을 하고 싶습니다. 제가 필요한 곳이 있으면 불러주세요. 달려가겠습니다. 여성 운동의 진정한 파워는 아이러니하게도 남성들의 참여가 있을 때야 비로소 현실화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남성분들의 지원 부탁드립니다.
뭐 어떤 단체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대단한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그런 것은 아닙니다. 비근하게는 회사 사무실의 휴게실(커피나 생수 마시는 곳)을 항상 치우는 사람이 누구인지, 사무실에서 음식 시켜 먹고 뒷처리는 꼭 누가하는지, 자잘한 심부름을 도맡아 하는 사람이 있는지 잘 살펴보고 마음을 쓰고 또 도와주는 것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누군가의 희생을 습관적으로 당연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를 하면, "부럽다, 우리는 아예 여자가 없다"라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여성 개발자를 채용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컨대 채용시 최소 쿼터를 둔다거나 가산점을 준다거나 하는 등의 방편을 쓸 수 있습니다. 남녀 성비에 현저한 차이가 있을 경우, 특별성에 쿼터제나 가산점제를 적용하는 것은 남녀고용평등법 위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IT업은 사실상 다른 산업군에 비해 남녀성비가 상당히 좋은 편에 속합니다만, 속 내용을 들여다 보면 대다수 여성들은 IT업에서도 제조직이나 사무직 등에 치우쳐 있습니다. 개발직군 쪽으로 가면 남녀성비 차이는 상당합니다.
기사는 사흘쯤 전에 IBM 디벨로퍼웍스 사이트에 올라왔습니다. "서로 세워주는 벗들의 모임을 꿈꾸며"라는 제목입니다.
--김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