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간에 화제가 되고 있는 애자일컨설팅과 오픈마루 합작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나부군입니다. 3월 8일 처음 일을 시작해서 벌써 3주가 흘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벌써 석달은 지난 느낌입니다.
저희 프로젝트를 지켜보시는 분들 중에 과연 주당 16시간 근무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해 하실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저도 많이 궁금했으니까요. 하지만, 지난 3주간 해온 일들을 보면 그냥 놀랍기만 합니다. 게다가 저는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많은 영감을 받아 지금 제 머리 속은 새로운 아이디어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우선, 일의 밀도가 높습니다. 잠시 쉬는 시간을 제외하고 모두 함께 얼굴을 맞대고 일을 하고 있습니다. 혼자 딴 생각 할 겨를도 없습니다. 오히려 8시간을 일하는 날은 피로감을 느낄 정도 입니다.
끊임없이 의사소통을 합니다. 근무시간 중 서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는 시간은 잠시 쉬는시간과 각자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 뿐입니다. 잠시 쉬는시간에도 주로 다른 주제로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기민합니다. 프로젝트 진행중에 프로젝트 컨셉이 바뀌는 일이 생겼었습니다. 하지만, 바로 새로운 컨셉을 정하고 그에 맞춰 일을 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 이 프로젝트에 지원할 때부터 저는 김창준님으로부터 사용자 스토리, 테스트 주도 개발, 짝 프로그래밍 등 기술적인 부분을 배울 것을 기대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어떻게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가치를 얻을 수 있는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가치를 얻으려 노력할 때 쓸데없는 부분에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이 점 때문에 오히려 주당 16시간 근무가 40시간 근무보다 더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저는 나머지 시간에 무엇을 할까요? 일렉기타를 배우고, 10km 마라톤 대회를 준비하며, Erlang 스터디에도 참가를 하고 있고, Agile Retrospectives라는 책도 번역하고 있습니다. 아, 다음 주에는 친구 커플과 쌍쌍으로 동해안에 여행도 떠나기로 했네요. 저는 이런 시간들이 제 자신에게 계속해서 동력을 뿜어낼 수 있는 연료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영원히 멈추지 않는 영구기관이 될 수도 있겠죠? ;)
야근이 없다고 상상해보세요.
당신이 노력하면 어렵지 않아요.
근무 후엔 오직 퇴근이 있을뿐.
눈치주는 상사도 없답니다.
모든 사람들이 즐겁게 출근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일을 즐긴다고 상상해보세요.
그것도 어렵지 않아요.
상사 몰래 웹서핑을 하거나, 메신저를 켤일도 없겠지요.
모든 팀원들이 서로 가치를 얻으며 일한다고 상상해보세요.
날 몽상가라고 부를지도 몰라요.
하지만 나만 이런 생각을 가진게 아니에요.
언젠가 당신도 우리와 같은 생각을 가지게 될 거에요.
주당 16시간 근무를 상상해봐요.
당신이 상상할 수 있을까요.
얼마나 오래 일을 했는지가 중요한게 아니고,
얼마나 가치있는 일을 했는지가 중요하죠. 동료애가 넘쳐나요.
모든 가치를 함께 공유하는 팀원들을 상상해봐요.
날 몽상가라고 부를지도 몰라요.
하지만 나만 이런 생각을 가진게 아니에요.
언젠가 당신도 우리와 같은 생각을 가지게 될 거에요.
(나부군이 존 레논의 Imagine을 개사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