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타에 대한 유튜브(youtube)로 불리는 Swivel을 이용해서 그래프를 그려봤습니다. 세로축은 년간 노동 시간(출처)이고 가로축은 구매력 기준 일인당 GDP(출처) 입니다.
눈에 띄는 것이 있나요? 점 하나가 무리 밖에 튀어나와 있지요(y값이 2400에 가까운 점)? 대한민국입니다. 비슷한 수준의 GDP를 갖는 국가들에 비해 노동 시간은 훨씬 많습니다. 통계에서는 특이점(outlier)이라고 합니다. 무리 밖에(out) 있는(lie) 놈(-er)이라는 뜻이지요.
영웅이 잔인하게 죽인 놈이 알고보니 다행히도 나쁜 놈이어서 별 고민 안해도 되는 경우인데 만약 우리나라가 저 무리 속에 줄 맞춰 적당히 위치하고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고민의 시작입니다. 그래 우리는 GDP가 이 수준이니까 많이 일하는 것이 당연해라고 말해야 할까요? GDP가 낮으면 오래 일하는 것이 정당화 되는 것일까요? GDP가 낮은 국가는 오래 일해야만 하는 것일까요? 그것이 좋은 방법일까요?
--김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