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싱은 전자 예술(electronic arts)과 시각 디자인 커뮤니티를 위해 만든 언어이자 개발 환경입니다. 프로세싱의 원래 목적 중 하나는 프로그래머가 아닌 사람들이 비교적 쉽게 프로그래밍 개념을 익힐 수 있게 하자는 것이었습니다.Processing is an open source programming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people who want to program images, animation, and sound. It is used by students, artists, designers, architects, researchers, and hobbyists for learning, prototyping, and production. It is created to teach fundamentals of computer programming within a visual context and to serve as a software sketchbook and professional production tool. Processing is developed by artists and designers as an alternative to proprietary software tools in the same domain.
현재 많은 대학에서 인문학이나 혹은 예술 전공 학생들에게 이 프로세싱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특히 미디어 아트를 하는 분들이 많이 배우고 또 실제 작품(혹은 프로토타입 개발)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프로그래머와 예술가, 혹은 일반인이 함께 즐겁고 서로 배울 것이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다고 믿고, 그런 실험을 해보고 싶습니다. 대안언어축제를 넘어서라는 글에서 살짝 언급했었죠.
우선 지난 토요일에 첫발자국을 내딛었습니다.
워크샵을 하나 했습니다. 16분 정도가 오셨습니다. 참 다양한 분들이 오셨습니다. 기호학을 하시는 분, 인터넷에 대해 사회학적 연구를 하시는 분, 전문 프로그래머, 전자제품 인증을 하시는 분, 비주얼 아티스트, 문화 기획자, 컨설턴트, 초등학교 교사, 컴퓨터 교육 연구자 등등. 이 사람들이 모여서 도대체 뭘 "같이" 할 수 있었을까 상상이 잘 안되지 않습니까?
아트센터 나비에서 프로세싱 강의를 하고 계신 최승준씨를 초대해서 워크샵을 했습니다. 최승준씨는 현재 미디어 아티스트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계신 분입니다. 정말 재미있는 작업을 많이 하셨고 그 과정 중에 다양한 분야의 분들과 협업을 해보셨더군요(최승준씨는 물리학을 전공하셨답니다). 예컨대 무용가들과 협업을 해서, 무대에서 춤을 추면 그에 맞게 화면의 이미지가 동적으로 바뀐다든가 하는 작품도 있네요. 유치원 아이들 교육에 프로세싱(및 Arduino, Wiring)을 사용하시기도 합니다. 다음 글은 승준씨의 자기 소개에서 인용했습니다:
미디어아트가 가지는 잠재능력이 다양한 교육의 층위에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 조형, 디자인, 음악, 문학, 극, 무용 등의 다른 장르의 예술가들과 협업하며 함께 배워가는 한편, 컴퓨터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과학적인 소재들을 예술가들이 이해할 수 있는 이야기로 풀어내는 작업을 병행 하고 있다. 이런 과정을 토대로 지식, 마음, 문화와 관계 맺고 이를 함께 만들어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승준씨의 작품은 현재 대림미술관에서 전시를 하고 있기도 하죠.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전혀 모르시는 분들도 계시고(의도적으로 이런 분들이 절반이 되도록 했습니다) 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분, 없는 분 해서 두 사람이 한 조가 되도록 짝을 지었습니다. 맞습니다. 짝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입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짝 학습이라고 해도 되겠네요. 같이 배우는 것 이상으로 서로 배웠으니까요.
매우 유쾌한 경험이었습니다.
가까운 소망은 1박 2일 혹은 2박 3일로 축제를 하나 만들어 보는 겁니다. 다양한 사람들(예술가, 철학자, 일반인, 엔지니어, 프로그래머 등)이 한 팀을 이루어 정해진 기간 동안 작품을 하나씩 만드는 것이죠. 꼭 이루고 싶은 소망입니다.
--김창준